게임 공략

[DST 공략] Don't starve together 풀고기 농장 만들기 외 소소한 팁

6노새6 2021. 10. 5. 23:34

 

 

 

 

오늘은 돈스타브 투게더의 소소한 팁들을 가져와봤습니다.

 

특히 굶린이분들이라면, 공방에 방문했을 때 다른 유저들이 활용하는 것을 많이들 보셨을테지만

미처 물어보기 어려웠거나 쉽사리 따라하기 어려웠던 두 가지 소소한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풀고기 농장 만들기 입니다.

 

왜 공방의 다른 유저들이 풀고기 농장을 중요시 하고

애시당초 풀고기 농장은 왜 만드는 것인가?

하는 궁금증을 품으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풀고기는 바로 체력 회복에 좋은 풀고기 샐러드, 정신력 회복에 좋은 젤리 샐러드 등

음식으로 만들었을 때 아주 좋은 효능을 가진 '재료'이기 떄문입니다.

 

때문에 봄마다 랜덤으로 피어난 육질 구근을 찾으러 헤메기보다

집 근처에 풀고기 농장을 만들어 두고 때마다 쏙 쏙 채취하면 참 편리하겠죠?

 

자, 그렇다면 풀고기 농장은 어떻게 만드느냐

농장이라 하니 일반 땅 위에서 만드는 것인가? 싶으실 법도 한데

 

육질 구근은 특성상 땅 위에 심으면 주변에 눈알 식물이 퍼지기 때문에 매우 매우 불편하기 그지없습니다.

(눈알 식물은 가까이 가면 유저를 공격하고 떨어뜨린 물건을 주워 먹음)

 

그래서 아마 공방에서 많이들 보셨을 '배 위'에서 기르는 방법이 필요한 것입니다.

 

 

먼저, 배 위에서 키워야하느니만큼 배 키트와 육질 구근을 준비해주시면 됩니다.

배 하나에 육질 구근이 8개 정도 들어갑니다.

 

배가 떠밀려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닻을 설치하는 자리를 제외한 기준의 갯수이니

상황에 따라 더 심으실 수도 있으실 겁니다. 

 

 

그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렇게 뿅! 하고 눈알 식물 없이

딱 풀고기만 얻을 수 있는 최적의 풀고기 농장이 완성 됩니다.

 

참고로 풀고기가 생긴 상태에서 채취하지 않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다시 구근 상태로 돌아가거나 채취하여도 신선도가 매우 떨어진 상태기 때문에

베이스 근처에 만들어 두고 자주 채취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 소소한 꿀팁으로는 요리솥 만들기 입니다.

 

요리솥? 그냥 재료 모아서 만들면 되는거 아닌가? 싶으실텐데

지금 제가 알려드리려는 방법은 바로 냉장고와 요리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제작법입니다.

아마 공방에서 정말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이 방법으로 짓는 이유는 위에 말했듯 냉장고에 있는 재료를 요리솥에 넣을 때 냉장고가 닫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재료를 꺼내거나 기존 꺼내온 재료를 다시 넣거나 할 때 움직일 필요가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많은 공방에서 이 방법을 사용해 짓는 것을 많이들 보셨을 텐데

이게 게임을 처음 접하는 굶린이들이 눈으로 보고만 짓기엔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니 아래 방법을 통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먼저 제작 편의를 위해 저는 사진처럼  F3 키를 눌러 격자를 확인하며 제작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 냉장고를 먼저 설치해주어야 하는데

요리솥을 먼저 제작하여 설치할 경우 냉장고가 들어갈 자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설치 순서를 냉장고 - 요리솥 의 순서로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그럼 냉장고를 위치를 먼저 잡아주시면 되는데

저 같은 경우 한 칸당 10X10칸이므로, 딱 5X5의 위치에 자리잡은 정중앙에 설치하는 편입니다.

 

 

그 뒤, 냉장고로부터 일렬로 쭉 올라간 위치에서 가장 냉장고와 가까운 곳에 요리솥을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냉장고가 설치 된 칸 바로 윗 칸에서 5X4의 위치에 만들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오메트릭 모드 사용시 위와 같은 간격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에 위치할 요리솥 역시 일렬로 쭉 내려온 아래칸에서 위와 같이 5X4의 위치에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그 다음 양 옆 요리솥들을 만들어 주는데,

 

이건 위 아래 요리솥들을 먼저 만들어 두었다면 딱 냉장고와 가까운 위치에

만들 수 있다고 표시되는 칸들이 눈에 보이실 겁니다.

 

그래도 잘 모르시겠으면 둘 중 그나마 위치 가늠이 쉬운

아래쪽 솥부터 먼저 만들고 바로 윗 라인에 하나 더 만드시면 됩니다.

 

이래쪽 솥은 사진에 보이시는 바와 같이 세로로 칸을 올라갈 필요 없이

기준선 그래도 오른쪽 방향으로 가로로만 3칸 간 위치에 제작해주시면 되기 때문에 위치 가늠이 쉽습니다.

 

윗 솥은 방금 만든 솥 바로 위쪽 중 가장 가까운 위치에 만들면 됩니다.

아마 설치할 수 있는 칸이 딱 한 곳만 남아 제작하기에 어려움은 없으실 겁니다.

 

 

반대 방향은 이미 지어둔 솥과 일직선으로 방향만 달리해 지어주시면 끝!

 

이건 직접 여러번 제작해보시면서 숙련 되시면 간격 가늠하기도 쉽고 순식간에 제작하실 수 있을겁니다.

 

또, 냉장고가 부족한 경우 냉장고 - 요리솥 6개를 순서대로 모두 지어준 상태에서

기존에 지어둔 냉장고 양 옆, 위아래로 추가적으로 지어줄 수 있습니다.

총 9개 정도 설치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근데 사실 솔플할 땐 기어 낭비이기도 하고 냉장고를 9개까지 사용할 일도 없어서

보통 위 사진처럼 냉장고 3개, 소금 항아리 3개 정도만 만들면 충분합니다.

 

 (소금 항아리는 요리 전인 식재료를 넣었을 때 기본 냉장고보다 훨씬 신선도가 늘어나기 때문에

소금 항아리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이건 제가 쓰는 정말 소소한 팁인데

사진에서처럼 솥 근처에 상자를 하나 만들어 둔 뒤 여기에 번들랩으로 포장해둔 요리들을 보관해둡니다.

 

냉장고가 꽉 찬 상황이거나 음식 신선도가 걱정될 때, 지금 당장 먹지는 않지만

보스 레이드를 위해 미리 만들어둔 체력 보강용 음식들 등등

 

'현재' 당장 먹을 일은 없지만 신선도 때문에 냉장고에 오래 둘 수 없을 경우 즉시 랩으로 싸두었다가

바로 요리솥 근처에 만들어 둔 음식 전용 상자에 보관 하면 다른 물건들과 섞이지도 않고

딱 음식들만 있는 상자이니 급할때 아무거나 풀어서 먹을 수도 있고 좋습니다.

 

 

그럼 오늘 알려드린 소소한 팁들이 도움 됐으면 좋겠고

다들 즐거운 굶지마 되세요!

반응형